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mongodb
- java
- MongoTemplate
- Entity
- websokcet
- linux
- spring
- 테이블정의서
- javax
- OS
- 자바란
- 카멜케이스
- commons-fileupload
- banner
- 2중for
- pdf변환
- springboot
- jpa
- for
- 스네이크케이스
- inmemory
- 반복
- spring-rest-docs
- 태그없음
- nginx
- 외부허용
- redis
- 파스칼케이스
- Docker
- 케밥케이스
- Today
- Total
목록java (8)
겸쨔
for문이나 while문 같은 반복문을 돌리다보면밑에까지 다 내려가고 나서 조건식이 false면 멈춘다. 근데 중간에 그냥 특정 조건에 바로 멈추고 싶을 때 혹은중간에 특정 조건에 바로 다시 위로 올라오게 하고 싶을 때는break나 continue 둘 중 한 개를 사용하면 된다. 사실 난 2년 전에 배울 때 continue가 이해가 너무너무 안 됐었다.그러다 작년에 다시 보니 이해가 되더라 .. break아래 코드를 보자.첫 번째 for문에서는 특정 조건일 때 break를 걸고 있다.두 번째 for문에서는 특정 조건일 때 continue를 걸고 있다.int breakCount = 0;for (true) { if (breakCount > 5) { break; } breakCount++;..
자바를 배움에 앞서 자바란 무엇인가에 대해 알아보자.참고로 공식 문서를 참고 했음. Java란?Java는 널리 사용되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로노트북, 모바일, 게임 콘솔, 의료 장비 등을 포함해 수십억 개의 디바이스에서 실행된다.Java의 규칙과 구문은 C 및 C++언어를 기반으로 한다. Java가 JavaScript랑 이름이 비슷해서 처음 보는사람들은 두 언어가 상당히 연관되어 있다고 생각한다.두 언어는 엄연히 다른 언어이며, 연관성은 이름 뿐이다. 요즘 학원이다 부트캠프다 뭐다 하면서 다들 Java를 가르키는이유는 실제로 현업에서는 Java를 많이 쓰고 있다.언어만 본다면 보통 Java나 JavaScript를 많이 쓰는데,간혹 Python 쓰는 곳도 보이지만, 진짜 Java가 월등히 많다. 그리..
조건문에 대해 알아보자. 조건문이란?특정 조건을 만족 시켰을 때,개발자가 미리 지정한 코드를 동작하게 만들어주는 녀석이다. 조건문에도 여러가지가 존재한다.IF문, IF ELSE문, IF ELSE IF문, Swtich Case문, 삼항 연산자 등 위 5가지가 모두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의 행위를 지정할 수 있는 조건문이고,상황에 따라서 편하게 쓰면 된다. 이 글에서는 IF문, IF ELSE문, IF ELSE IF문을 먼저 다뤄보자. 먼저 IF문이다.소괄호 안에 조건식이 들어가고,결과가 참일 시 중괄호 안이 동작한다.결과가 거짓이면 중괄호 안은 동작하지 않는다.if (true) { // 수행문 // 조건식의 결과가 참일 시 동작} 두번째는 IF ELSE문이다.소괄호 안에 조건식이 들어가고,결과가 참..

이번엔 for문 안에 for문을 넣어 2중 for문을 만들었다.반복문 for문 글에서 만들었던 구구단을 이젠 9단까지 출력할 수 있는 코드를 짤 것이다.첫번째 for문이다. 우선 구구단의 첫번째 숫자 2를 int num에 선언하여 넣어줬다.그 다음 9단까지 출력하기 위해 관계 연산자를 이용하여 10까지 출력되지 않게 했다.그 뒤 for문이 한바퀴 돌면 3단을 출력하게 하기 위해 변수 num에 증감 연산자를 붙여줬다.그리고 출력 값을 구분하기 위해 변수 num과 쌍따옴표로 감싼 "단"을 출력했다. 그 다음 두번째 for문을 넣어줬다. 변수 num과 곱해줄 변수 i를 int 로 선언해줬다.그리고 이것 또한 마찬가지로 변수 num에 곱해줄 변수 i가 10까지 출력되지 않게 했다.그 뒤 두번째 fo..

반복문 for문을 다루어 볼 것이다.우선 가장 대표적인 반복문으로 유명한 구구단을 만들었다.구구단을 일일이 작성해보면 아래와 같다.개발자의 입장으로 바라보면 정말 귀찮은 짓이 아닐 수 없다.우선 코드들이 반복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코드들이 이렇게 반복 될 땐 반복문을 사용하면 좋다.아래는 반복문을 사용하여 2단이 출력 되게끔 했다.위 코드를 번호의 순서대로 컴퓨터가 읽어 나간다.괄호 안에 1번은 초기화식이다. 변수 i를 int로 선언과 동시에 1로 초기화하고 ;로 끊어줬다.괄호 안에 2번은 조건식이다. 변수 i 와 10 사이에 관계 연산자를 넣어주고 ;로 끊어줬다.3번은 수행문이다. 괄호 안에 있는 글자들을 출력해주고 ;로 끊어줬다.괄호 안에 4번은 증감식이다. 변수 i를 증감 연산자를 사..

기본중에 기본인 연산자들의 종류를 다룰 것이다..항은 연산에 사용되는 값을 의미한다.1. 대입 연산자첫번째는 대입 연산자이다.수학에서 흔히 사용하는 '='는 좌항과 우항이 같다는 의미로 사용된다.하지만 자바에서는 우항을 좌항에 대입한다는 의미로 사용된다.그래서 자바에서는 ' = ' 을 대입 연산자라고 부른다.그리고 우항을 우리는 리터럴 값이라고 부른다.2. 부호 연산자두 번째는 부호 연산자이다.부호 연산자란 우리가 흔히 아는 숫자 앞에 +와 - 즉, 양수와 음수를 가려주는 연산자를 뜻한다. 자바에서도 숫자 앞에 부호를 붙일 수 있다. 하지만 위 코드와 같이 변수 앞에 부호를 붙여주면 출력 값은 아래와 같다.3. 산술 연산자세번째는 산술 연산자이다.산술 연산자란 수학에서 사용하는 사칙연산이라고..

변수를 잘 활용하는 사람이 코드를 예쁘게 잘 짠다는 말이 있다.난 코드를 예쁘게 잘 짜는 사람이 되고 싶다. 변수에는 2가지 종류가 있다. 1. 기본 데이터 타입(primitive type, 값) - int, double, float, 등등2. 참조 타입(reference type, 주솟값) - 해시값 위 예시는 1번 기본 데이터 타입이다. 우선 변수를 선언했다.int라는 data type 다음 변수명 age와 count를 넣어봤다. 변수들을 각각 1과 100으로 초기화했다. 그리고 두 변수들을 출력해 보았다. 출력해 보니 잘 나왔다.1과 100은 정수라 정수형 data type을 사용했더니오류 없이 잘 출력 됐다. 위에서 선언한 변수 age를 한 번 더 1000으로 초기화하고출..

자바로 컴퓨터와 대화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컴퓨터의 가장 기본적인 언어를 숙지해보자. 기본 데이터 타입 (Primitive Type)우선 기본 데이터 타입의 종류들을 나열해보자. 보통 개발할 땐 boolean, char, int, long, double을 주로 사용한다.다른 애들은 " 아 이런 애들도 있구나." 하고 넘겨보자 !기본 데이터 타입은 데이터 크기로 분류된다. 우선 byte를 알아보자.1byte는 8bit이다. 그럼 1bit란 무엇일까?1bit의 정의를 알려면 컴퓨터의 언어를 알아야 한다. 우선 인간은 10진법을 사용하고 있다. 10진법이란, 0~9라는 10가지의 숫자를 이용해서 수를 나타내는 진법이다.컴퓨터는 2진법을 사용하고 있다.2진법이란, 0과 1이라는 두 개의 숫자만을 사용..